본문 바로가기
▶ 경제금융용어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4] 외환보유액, 외환스왑거래 (feat.한미통화스와프) 뜻

by 스마트한 경제생활 2023. 1. 2.
반응형

2022.12.29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3]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총부채상환비율(DTI)의 뜻과 차이점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3]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총부채상환비율(DTI)

2022.12.22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2] 신용경색(credit crunch), 양적완화정책(Quantitative Easing) 뜻 ※ 오늘의 경제용어 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총부채

fire-economy.tistory.com

 

※ 오늘의 경제용어 

  • 외환보유액
  • 외환스왑거래

아래 기사를 보고 오늘 같이 공부해볼 경제 용어에 대해 알아봅시다.

 

출처 - 아시아경제 뉴스

1. 외환보유액 

외환보유액(Official Reserve Assets)은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국제수지 불균형을 보전하거나 외환시장 안정을 위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보유하고 있는 교환성이 있고 유동성이나 시장성이 높은 대외지급준비 자산을 말한다. 그러므로 외환보유액은 긴급한 상황에서 쓰기 위해 갖고 있는 비상금과 같은 성격의 준비자산으로 외환보유액은 환율 급등 시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재원으로 이용될 뿐 만 아니라 금융기관의 해외차입이 어려워지는 신용위기 상황에서 중앙은행 등이 최종대부자(last resort)의 역할을 하기 위한 재원이 된다.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현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선진국 국채등 외화증권이나 예치금과 같은 유동성과 안정성이 높은 자산으로 운용되고 있다. 외환보유액은 경제 위기 시 안전판 역할을 하여 국가 신용도를 높이고 중앙은행은 외화자산 운용에 따른 수익이 발생하는 등의 편익이 있지만 통화안정증권 등에 대한 이자지급 등 비용 또한 발생한다. 이에 따라 외환보유액의 적정 규모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 왔다.

 

2. 외환스왑거래

외환스왑거래란 거래당사자들이 현재의 계약환율에 따라 서로 다른 통화를 교환하고 일정기간 후 최초 계약시점에서 정한 선물환율에 따라 원금을 재 교환하는 거래를 말한다. 즉 외환스왑거래는 동일한 거래 상대방간에 현물환과 선물환 또는 만기가 상이한 선물환과 선물환, 현물환과 현물환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매매하는 거래를 의미하며 스왑기간 중 이자 지급은 없으나 계약 시 통화 간 이자율 차가 반영되어 만기 시 환율이 산정된다. 외환스왑거래에 있어 매입 매도는 원일물(far date)거래를 기준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면 외환스왑 매입은 근일물을 매도하고 원일물을 매입하는 sell&buy swap 거래를 말하며 외환스왑 매도는 근일물을 매입하고 원일물을 매도하는 buy&sell swap거래를 의미한다. 외환스왑의 거래동기를 보면 자금 조달, 환리스크의 관리, 결제일의 조정, 금리차익 획득 및 금리변동을 이용한 투기적 거래 등의 목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출처 - 네이버


출처 - 한국은행

외환스왑거래 중 가장 중요한 스왑거래는 기축 통화인 한-미 통화스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미통화스왑은 엄밀히 말하면 지정된 환율로 단순 거래만 하는것은 아니고 만기일 동안 일정 이자비용을 지급하고 빌려 오는 것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로서는 작년 말과 같이 환율이 급등하는 상황에서 외환보유액이 낮아졌을 때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차관을 도입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이른바 '킹달러'로 불리는 달러대비 원화가치의 하락을 방어하는데 절대적인 해법은 아니라고 합니다. 22년 말에 달러가 치솟을 때도 정부는 '한미스와프를 추가적으로 진행할 만큼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라고 추가적인 한미스와프 가능성을 일축하였습니다. 

 

개인의 경우 이러한 상황을 대비해서 자산의 일정 부분을 달러로 보유하고 있는것도 중요한 헷지수단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도 자산을 다각화하여 각 자산이 가지고 있는 리스크를 적절하게 분산하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