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26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9]기준금리, 고정금리(base rate) 의미 뜻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9]기준금리, 고정금리(base rate) 의미 뜻
2023.01.25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8]경제성장률, 국내총생산(GDP) 의미 뜻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8]경제성장률, 국내총생산(GDP) 의미 뜻 2023.01.20 - [매일매일 경제
fire-economy.tistory.com
※ 오늘의 경제용어
- 주가수익비율 (PER)
- 주당순이익 (EPS)
아래 기사를 보고 오늘 같이 공부해 볼 경제 용어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주가수익비율(PER)
주가가 실제 기업의 가치에 비해 고평가되어 있는지, 아니면 저평가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활용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주가수익비율(PER; Price Earning Ratio)이있다. PER는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이익(EPS; Earning Per Share)으로 나눈 값으로, 해당기업의 주가가 그 기업 1주당 수익의 몇 배 수준으로 거래되는지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특정 기업의 현재 PER가 과거 추이 또는 수익구조가 유사한 타기업 등과 비교해 높을 경우 주가가 기업가치에 비해 고평가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개별기업 PER의 개념을 주식시장 전체로 확장하면 상장기업 주가수준의 국가 간 비교도 가능해진다. 국내 증시의 PER가 주요국보다 낮을 경우 국내 상장기업의 주가가 기업가치에 비해 저평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PER 이외에도 주가순자산비율(PBR; Price on Book-value Ratio)이 기업가치 대비 주가 수준 판단지표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PBR은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자산(BPS; Book-value Per Share)으로 나눈 값이다. PER가 기업의 수익성 측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라면, PBR는 기업의 재무구조 측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이다.
2. 주당순이익(EPS)
주당순이익(EPS; Earning Per Share)은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동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을 말한다. 당기순이익(net income)은 손익계산서상의 당기순손익(net income or loss)을 뜻한다. 당기순손익은 계속사업손익에 중단사업손익을 가감하여 산출되며, 당해 회계연도의 최종적인 경영성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EPS는 통상 1년 동안 기업이 주식 1주당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EPS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의 경영실적이 양호하고 배당여력도 많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주가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EPS는 당기순이익 규모가 증가하면 높아진다. 한편,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의 주식 전환이나 증자로 주식수가 늘어나면 EPS는 낮아지게 된다. EPS는 기업의 수익성을 분석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주가수익비율(PER) 계산의 기초가 된다. 개별 기업의 EPS 증가는 동 기업의 시장지배력이 확대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체 산업의 EPS 증가는 신기술, 신제품 출시 등 기술혁신이 진행되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주식 거래를 할때 우리는 어떤 종목을 구매할지 판매할지를 결정합니다. 그리고 그 회사가 가지고 있는 주식의 가치 즉 주가가 싼 지, 비싼지를 판단하게 되죠. 현재 주식의 가치가 나의 생각보다 저평가되었다고 생각할 때는 매수를 하게 되고 그 반대의 경우 고평가 되었다고 생각했을 때는 보유 중인 종목이다 하더라도 가격의 하락을 예상하여 매도를 하게 됩니다. 이때, 그 회사의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은 재무제표를 확인하게 되고, 그중 주가수익비율(PER)과 주당순이익(EPS)을 비중 있게 고려하여, 해당 업계평균이 가지고 있는 주당 수익비율이 높다든지, 주당순이익이 더 크다던지 하면 그 종목을 유심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의미죠. 뉴스 기사와 가십거리만 보고 그 회사를 판단하여 매매를 하는 일이 없어졌으면 좋겠습니다.
'▶ 경제금융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대금리차(예대마진), 예금보호제도 의미 뜻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12] (0) | 2023.02.11 |
---|---|
커플링/디커플링, 디플레이션 의미 뜻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11] (1) | 2023.02.07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9]기준금리, 고정금리(base rate) 의미 뜻 (1) | 2023.01.26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8]경제성장률, 국내총생산(GDP) 의미 뜻 (0) | 2023.01.25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7]더블딥(Double-dip), 디플레이션(Deflation) 의미 뜻 (0) | 2023.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