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금융용어

커플링/디커플링, 디플레이션 의미 뜻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11]

by 스마트한 경제생활 2023. 2. 7.
반응형

2023.01.28 - [▶ 경제금융용어]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10]주가수익비율(PER), 주당순이익(EPS) 의미 뜻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10]주가수익비율(PER), 주당순이익(EPS) 의미 뜻

2023.01.26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9]기준금리, 고정금리(base rate) 의미 뜻 [매일매일 경제금융용어 - 9]기준금리, 고정금리(base rate) 의미 뜻 2023.01.25 - [매일매일 경제

fire-economy.tistory.com

※ 오늘의 경제용어 

  • 커플링/디커플링
  • 디플레이션

아래 기사를 보고 오늘 같이 공부해 볼 경제 용어에 대해 알아봅시다.

출처 - 머니투데이

1. 커플링/디커플링

디커플링(decoupling)이란 탈동조화라고 번역할 수 있는데, 어떤 나라나 지역의 경제가 인접한 다른 국가나 전반적인 세계 경제의 흐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의 디커플링의 예로는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가나 유로지역 국가 등이 특히 미국 경제와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외에도 주가나 금리, 환율 등 일부 경제 변수의 흐름이 국가 간 또는 특정국가내에서 서로 다른 흐름을 보이는 현상도 디커플링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 간의 경우 미국의 주가와 한국의 주가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한 국가 내에서의 경우 주가가 하락함에도 해당국 통화가 강세 현상을 보이는 경우 등을 말한다. 반대로 한 나라 또는 지역의 경제가 인접한 다른 국가나 세계경제 흐름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는 것을 커플링(동조화 coupling)이라 한다.

 

 

커플링과 디커플링에 대한 이해는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양한 자산 형태 중에 서로 간에 커플링/디커플링 관계를 가지고 있는 자산들이 있습니다. 항상 다양한 자산들의 상관관계를 유심하게 관찰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은 자신의 자산을 지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디커플링 관계에 있는 자산들에 적절한 자산 비중 분배는 한쪽의 자산 가치가 떨어질 때 헷지를 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고, 커플링 관계에 있는 자산들은 한쪽의 자산이 상승할 때 동반상승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겠죠. 

출처 - 이투데이

2. 디플레이션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디플레이션(deflation) 하에서는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로 하락하는 인플레이션이 나타난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은 생산물의 과잉공급, 자산거품의 붕괴, 과도한 통화 긴축정책, 생산성 향상 등 다양하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유통되는 통화의 양이 재화 및 서비스의 양보다 적기 때문에 화폐가치는 상승하고 반대로 물가는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이 발생한다는 점에 이견이 없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통화의 가치는 상승하고 실물자산의 가치는 하락함에 따라 인플레이션과 반대 방향으로 소득 및 부의 비자발적 재분배가 발생한다. 이외에도 실질금리 상승에 따른 총수요 감소, 실질임금 상승에 따른 고용 및 생산 감소, 소비지출 연기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 부채디플레이션에 따른 총수요 감소, 통화정책 및 재정정책 등 정책적 대응 제약, 디플레이션 악순환 가능성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현재 처럼 고금리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혹자는 디플레이션이 우리 경제에 찾아올 때 환호를 지를 수 있습니다. 다만 디플레이션이 오게 되면 앞서 나열한 수요감소, 생산감소, 경제활동 위축의 악순환이 찾아오는 강력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항상 경제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이 공존하면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항상 우리의 경제상황이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파도 위에서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언제나 그렇듯 우리는 시장을 예측할 수 없고 예측해서도 안됩니다. 참 어려운 말이지만 대응의 영역에서 최선을 다할 때 우리는 언제나 한 발 더 성장해 나아갈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